목록전체 글 (40)
개발자 되어버리기
서버에서 로그인기능을 구현하면 사용하는 서버가 SSL을 사용 않는다면 암호화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SSL이 적용되어 있는 서버가 아니라면 전송되는 패킷에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고스란히 노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SSL을 쓰지 않는다면 클라이언트 혹은 서버에서 암호화 기능을 구현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ES256-CBC를 이용하여 암호화를 진행하고 푸는 것을 쓰고자 합니다. 깃허브에 업로드 되어있습니다! https://github.com/Koobonik/AES256-CBC 앱이 완성되고 예제를 실행한 화면입니다. 소스코드 입니다. import UIKit class ViewController: UIViewController { @IBOutlet weak var decr..
저희가 테스트를 할때 변수를 선언하고 사용합니다.하지만 이런 변수들은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삭제가 됩니다. 앱에서 자체적으로 db처럼 쓸 수 있는 UserDefault 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예제 소스코드 입니다. import UIKit class ViewController: UIViewController { @IBOutlet weak var dbLabel: UILabel! @IBAction func saveDB(_ sender: UIButton) { // db 저장 이라는 내용을 저장합니다. UserDefaults.standard.set("db저장", forKey: "db") } override func viewDidLoad() { super.viewDidLoad() if UserDefaults.stan..
웹에서 Alert 로 창을 하나 띄우듯이 앱에서도 창을 띄울 수 있습니다. 소스코드입니다. class ViewController: UIViewController { override func viewDidLoad() { super.viewDidLoad() } @IBAction func alert_Button(_ sender: UIButton) { Output_Alert(title: "경고!", message: "경고창입니다.", text: "확인") } func Output_Alert(title : String, message : String, text : String) { let alertController = UIAlertController(title: title, message: message, pr..
저번 게시글 포스팅에서는 생체 인증에 관한 소스코드 설명이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애서는 생체인증을 어떤식으로 활용하는지? 간단한 앱을 만들겠습니다. 1. 앱이 실행되면서 생체인증 요청을 한다.2. 사용자가 지문인식이나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한다. or 취소하는 이벤트에 따라 앱의 라벨 문구가 바뀐다. - 프로젝트 생성부터 합니다. - 프로젝트 이름은 exampleApp 으로 합니다. 우선 저희가 프로젝트 생성후 'ViewController' 보면 이상태 입니다. (주석은 삭제하였습니다.) import UIKit class ViewController: UIViewController { override func viewDidLoad() { super.viewDidLoad() } } 앱이 실행될 때 바로 인증..
아이폰으로 지문인식, FaceID 를 사용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코드 입니다.지문인식같은 경우에는 코드만 넣으시면 바로 사용가능합니다. FaceID 같은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설정해줘야 할 것이 있습니다. 우선 코드 입니다. // LAContext Instance creation let authContext = LAContext() // Error store variable var error: NSError? // Check if the device has finger print sensor guard authContext.canEvaluatePolicy(.deviceOwnerAuthenticationWithBiometrics, error: &error) else { print("지문인식 안되는 장치 처리..
개발하다보면 8080 포트를 써야할 일이 많은데 매번 포트를 바꾸자니 번거로워서 깔끔하게 사용중인 포트를 다운시켜서정상적으로 8080 포트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 방법 입니다. 터미널 창에 lsof -i tcp:8080 을 입력합니다. PID 를 확인해보시면 9527로 떠있는데 kill -9 [PID] 로 죽여주시면 됩니다. 이후 다시 작업하시던 코드가 정상적으로 작동 되실 겁니다~ (이외의 에러는 이 글의 범주가 아닙니다.) 만약 PID를 일일히 확인하시는게 귀찮으시다면 kill $(lsof -t -i:8080) 명령어로 바로 내리실 수도 있습니다.
sudo apt-get install apache2이라는 명령어로 우분투에서는 간단하게 아파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아파치는 80번 포트와 8080번 포트가 열려있는 상황 입니다. 아래 사진은 제가 임의로 8081 포트로 바꾼 사진 입니다. 여러분들은 아파치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하시려면 주소창에 localhost or localhost:8080 or 127.0.0.1 or 127.0.0.1:8080 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아파치 서버를 중지하거나 재시작 하고 싶으시면 ↓중지sudo /etc/init.d/apache2 stop ↓재시작sudo /etc/init.d/apache2 restart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각종 설정을 바꾼뒤에는 재시작 해주셔야 설정이 적용됩니다.